본문 바로가기

docker4

[MariaDB] docker - mariaDB (mysql) 접속하고 테이블 생성, 조회 command 필요성 RDBMS로 mariaDB를 사용한 애플리케이션을 다루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명령어(command)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었습니다. 흔히, 보통 궁금해하는 부분에 대해 짚어보고자 합니다. 접근 1. Docker > Maria DB (Mysql) 접근하기 2. Maria DB 대표 command 방법 1. Docker > Maria DB (Mysql) 접근하기 (docker의 container에 MariaDB image가 존재한다는 가정) pull 받아둔 mariadb에 접근하면서 동작이 시작이 됩니다. # 1. docker에서 mariadb 접근 (sudo) docker exec -it mariadb(이미지명) /bin/bash # 2. mysql(maria DB) 접속 mysql -u root -p.. 2023. 3. 17.
[DB_postgreSQL] Command 명령어 사용하기 필요성 postgreSQL을 사용해보던 와중, DDL을 다루는 작업 이외에 Database(PostgreSQL)의 명령어에 대한 이해와 학습이 필요함을 느꼈습니다. 아래 항목은 기본적으로 TABLE과 RELATION 관계를 다루기에 유용하게 사용될 명령어를 나열했습니다. (추가적으로, 백업과 복원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룹니다) 접근 1. postgresql을 CLI로 다룰 준비 - psql 또는 docker > postgresql 2. 명령어 설명 3. (추가) psql 접속 옵션 4. (추가) psql 모든 계정 찾기 ('\du') 방법 1. postgresql을 CLI로 다룰 준비 (1.1) psql 접속 (SQL Shell) (1.2) docker > postgresql 접근 계정 : ~$ sudo .. 2023. 2. 21.
[연구목록] (Linux & Docker) DB Dump 파일 생성하고 파일 이동시키기 필요성 어느 프로젝트에 대해 로컬에 DB 관련 정보를 남겨두지 않은 채 작업을 하다가, (더 자세히는 로컬에 남겨진 DB정보가 그 어디에도 없는 상태에서) Dbeaver를 통해 붙어놓은 DB 정보에 의존하며 작업을 해왔습니다. 그런 상황이 지속이 되고, 어느덧 Dbeaver에 붙어놓은 DB 정보에 문제가 발생해 더 이상 접근이 불가한 상황에 맞닥뜨렸습니다. 그렇게 DB 정보를 몽땅 날릴 위기에 처해본 결과, 남은 타 프로젝트의 DB 관련 정보들을 Dump 파일로 생성해 백업을 해두는 절차를 숙지해둬야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접근 1. Linux 운영체제 사용 2. Docker 사용 3. PostgreSQL 사용 방법 1. Linux 운영체제 터미널로 Docker > PostgreSQL 컨테이너 접근 ``.. 2023. 1. 16.
(작성중)[Docker] docker error 해결법 : the input device is not a TTY. If you are using mintty, try prefixing the command with 'winpty' Git bash에서 docker 내부에 접속하기 위해 2023. 1. 5.